부모교육 칼럼

null 게시물 상세 정보
작성자 관광문화과 작성일 2017.01.31

우리 아이는 정상일까? 아닐까?


아이 바라보는 내 시각 제대로인지 먼저 살펴야


우리 아이는 정상일까? 아닐까?
부모 교육을 하다보면 많은 부모들의 질문이자 고민이자 수시로 스쳐가는 걱정으로 만나게 되는 말 중에 하나다.
우리 아이가 이렇게 하는 것이 정상인가요? 라는 걱정과 염려.
학교나 병원에서 받는 여러 정서적 검사의 결과 혹은 아이의 말과 행동, 부모가 수용하는 상식 이상의 분노의 분출이 우리 아이들을 부적응, 집중력 부족, ADHD, 불안장애, 게임중독 등 여러 분야로 나누어 낙인하고 있다. 물론 아이들의 개별 관리와 사례 관리를 위해 이 같은 정서에 대한 깊은 관찰은 매우 중요하지만 그것이 낙인을 위한 혹은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이 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 아이만큼은 이라는 강렬한 기대를 가질 수밖에 없는 부모 입장에서 아이들에 대한 이런 진단과 의구심을 전달받거나 발견할 때의 좌절감은 매우 크고, 그 영향은 매우 강력하게 그리고 곧바로 아이에게로 향한다.
정서적 문제를 발견하게 되면 전문기관과 전문상담을 통해 치료와 치유 과정을 거치겠지만, 이 과정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로 부모다. 부모는 아이가 감지하는 가장 가까운 어른이자 자신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면서 일상을 공유해야 하는 존재다.
그래서 우리 아이에 대해서 여러 형태의 걱정이 든다면, 부모가 취해야 할 제스처는 분명하다. 가장 먼저 우리 아이가 정상일까, 아닐까에 대한 생각을 내려놓는 일이다.
정상이라는 이 단어가 얼마나 위험한 단어인가? 왜냐하면 기준이 없는데 기준을 세운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이 정상이고 어떤 사람이 비정상이란 말인가? 우리 사회에서 이 정상이라는 단어를 통한 차별과 낙인이 얼마나 많이 이루어져왔고 이루어지고 있는가?
학교를 다니는 아이가 정상이고 학교 밖 아이들은 비정상인가? 선생님 말씀을 경청하는 아이는 정상이고 딴 짓을 하면 비정상인가?
이 정상이라는 단어는 인권 앞에서 서면 더욱 초라하고 민망하다. 특히, 우리 아이들을 바라볼 때 정상이라는 기준을 어디에 놓을 것인가? 라는 것이다.
부모가 생각한 기준, 사회가 만들어놓은 기준, 학교가 만들어놓은 기준, 의학적으로 만들어놓은 기준에서, 참으로 소중한 가치인 우리 아이들이 정상이라는 그 좁은 범위 안에서 밀려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 아이가 어느 정서적인 방향으로 안내되길 바란다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은 우리 아이가 정상인가? 아닌가?가 아닌 내가 아이를 바라보는 시각이 제대로인가?에 대한 성찰이다.
내 목숨도 내놓을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우리 아이를 어떤 잣대에 의해서 나 역시 가장 소중하게 바라볼 줄 모르는 것은 아닌지, 그렇게 해서 우리 아이를 홀로 외롭게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를 봐야 되는 것이다.
오히려 우리 아이가 아닌 내 시각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먼저 돌아봐야 한다. 아이를 향한 나의 시각과 눈빛, 애정과 관심이 진정 아이를 위해 제대로 가고 있는지를 먼저 확인하고 성찰해봐야 하는 것이다.
/원은정·하늘을 품은 학교 교장, 한국청소년센터 대표


첨부파일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1유형:출처표시 부모교육 칼럼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