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61건, 현재 페이지 18/22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대상 확대 2021.04.21
  • 전기자동차 구매 & 충전시설 ... 2021.04.13
  •  2021년 해운대 구민 대청소의 날 2021.04.13
  •  정보저장장치 파기 서비스 2021.04.01
  •  청각, 언어장애인을 위한 화상전화기 ... 2021.03.29
  • 01.
해운대 미래! 주민이 직접 그린다
해운대 2040 비전과 전략 수립

02.
해운대 2040
해운대구청은 급변하는 사회 환경과 구민의 요구를 반영하여
물리적, 소프트웨어적 정책분야를 망라하는 해운대구만의 마스터 플랜을 수립합니다
저출산, 초고령화, 4차 산업혁명, 코로나 19

03.
해운대 2040
비전, 발전전략, 분야별 목표를 통해 미래상을 제시할 것입니다.
이후 도로, 교통, 사업, 경제, 문화, 관광, 환경, 녹지, 안전, 보건, 복지 등
다양한 부문별 계획을 연계 및 종합하여 
구민이 주인이 되는 해운대의 2040년을 만들어갑니다.

04.
해운대 2040
해운대구 지속가능한 발전과 구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불확실한 미래 20년을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해운대 2040을 제시하겠습니다.
1. 전략수립: 미래지향적이며 실효성 있는 전략 수립
2. 미래플랜: 해운대만의 특색있는 미래 플랜 수립
3. 삶의 질 향상: 지속가능한 발전과 삶의 질 향상 로드맵 제시
4. 자긍심 고취: 해운대구민의 자긍심 고취

05.
2040 미래상
- 도시계획 균형발전: 스마트 기술 기반의 미래 감성도시
- 도로교통: 물 흐르듯 흐르는 사통팔달 도시
- 산업경제: 활력이 넘쳐나는 젊은 인재도시
- 문화, 관광, MICE: 문화와 함께하는 국제관광 도시
- 환경녹지: 생활과 함께하는 어메니티 도시
- 재난안전: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안전우선 도시
- 보건, 복지, 교육: 구석구석 하나가 되는 커뮤니티 도시
- 참여행정 정보화 지역혁신: 구민이 주인되는 참여자치 도시

비전, 발전전략, 분야별 목료를 통해 미래상을 제시할 것입니다.
이후 도로, 교통, 산업, 경제, 문화, 관광, 환경, 녹지, 안전, 보건, 복지 등
다양한 부문별 계획을 연계 및 종합하여 
구민이 주인이 되는 해운대의 2040년을 만들어갑니다. 

06. 
2040 진행과정
연구단계 전반에 걸쳐 해운대 구민, 전문가, 공동연구원, 공무원 등
다양한 주체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견을 반영합니다.
연구→의견수렴→비전방향 설정→비전전략 수립 및 비전공유

07.
2040 진행과정
다양한 주체들의 인사이트와 의견은 물론, 
수집가능한 모든 자료를 활용하여
해운대 2040 비전 설정 및 전략 수립 연구에 반영합니다.

08.
2040 진행과정
변화하는 형태를 특정 짓기 어려운 상황에서 도출가능한 여러가지 미래상을 추출하고 
그에 부응하는 플랜을 만들어갑니다
탐색→시나리오→대응전략→시나리오 플래닝
해운대 2040 비전과 전략 수립 2021.01.26
  • 01.
구민을 위해 상시대기!
해운대구 무인민원발급기 현황

02.
무인민원발급기 설치운영 현황(19대)(2020.6.월 현재)
<중1동>
- 구청민원실/해운대구 중동2로 11/ 24시간(연중)/ 가족관계등록: 24시간(연중)/ 등기부등본: 24시간(연중)
- 구청정문입구/해운대구 중동2로 11/ 24시간(연중)/ 가족관계등록: 24시간(연중)/ 등기부등본: 불가
<중2동>
- 해운대세무서/해운대구 달맞이길62번길28/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우1동>
- 우1동주민센터/해운대구 해운대로612/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우2동>
- 우2동주민센터/해운대구 해운대로363번가길7/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 센텀시티 지하철역/해운대구 센텀남대로 76 지하/ 05:00-24:00(연중)/가족관계등록: 불가/등기부등본: 불가
<우3동>
- 우3동주민센터/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104/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좌1동>
- 좌1동주민센터/해운대 양운로91/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좌2동>
- 좌2동주민센터/해운대구 좌동순환로302/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03.
<좌3동>
- 좌3동주민센터/해운대구 좌동순환로65/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좌4동>
- 해운대백병원/해운대구 해운대로875/24시간(연중)/가족관계등록: 24시간(연중)/등기부등본: 불가
- 좌4동주민센터/해운대구 좌동순환로183/24시간(연중)/가족관계등록: 24시간(연중)/등기부등본: 24시간(연중)
<반송1동>
- 반송1동주민센터/해운대구 아랫반송로16/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반송2동>
- 반송2동주민센터/해운대구 신반송로173/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재송1동>
- 문화복합센터/해운대구 센텀중앙로170/24시간(연중)/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재송2동>
- 재송2동주민센터/해운대구 재반로112번길20/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 동부지원민원실/해운대구 재반로112번길20/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불가
<반여1동>
- 반여여1동주민센터/해운대구 선수촌로85/09:00-18:00(월-금)/가족관계등록: 평일(09:00-18:000/등기부등본: 평일(09:00-18:00)
<반여2동>
- 반여2동주민센터/해운대구 재반로211번길9/24시간(연중)/가족관계등록: 24시간(연중)/등기부등본: 불가

04.
무인민원발급창구 발급종수 및 수수료 현황(108종)
<주민등록>
- 주민등록등,초본(2종)
<토지지적건축>
- 개별공시지가확인서
- 토지이용계획확인서
- 토지, 임야대장등본
- 건축물대장(일반건축물대장, 건축물대장총괄표제부, 집합건축물대장(표제부), 집합건축물대장(전유부분)
<차량>
- 건설기계등록원부(갑,을)
- 자동차등록원부(갑,을)
<보건복지>
- 국민기초수급자증명
- 장애인증명서
- 한부모가족증명서
<농촌>
- 농지원부

05.
<병적>
- 병적증명서(군복무필자, 면제자, 제1국민역)
<지방세>
-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취득세, 등록세, 면허세,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 농업소득세, 도축세, 레저세, 담배소비세, 종합토지세, 주행세, 지방소비세, 등록면허세, 사업소세, 지역개발세, 지역자원시설세, 지방소득세)
<부동산(법원)>
- 등기부등본(건물,토지,집합건물)
<수산>
- 어선원부
<제적(법원)>
- 제적 등(초)본
- 가족관계증명서(일반, 폐쇄)
- 기본증명서(폐쇄증명 포함)
- 혼인관계증명서(폐쇄증명 포함)
- 입양관계증명서(폐쇄증명 포함)

06.
<교육>
- 졸업증명서(국,영문)
- 졸업예정증명서
- 제적(정원외관리)증명서
- 성적증명서
- 학교생활기록부(초,중,고)
- 교육비납입증명서
- 검정고시합격증명서(국,영문)
- 검정고시성적증명서(국,영문)
- 검정고시과목합격증명서
<국세청>
- 사업자등록증명
- 휴업사실증명
- 납세증명
- 납세사실증명
- 소득금액증명
-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증명
-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 수입금액증명
- 연금보험료 등 소득세액 공제확인서
- 사업자단위과세적용 종된 사업장증명
- 모범납세자증명
- 근로(자녀)장려금 수급사실증명
- 소득확인증명(서민형개인종합 자산관리계좌)

07.
<건강보험>
- 지역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
- 지역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연말정산용)
- 직장 건강장기요양보험료 납부확인서
-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 지역 국민연금보험료 납부확인서
- 직장 국민연금보험료 납부확인서
<고용,산재모험(근로복지공단)>
- 고용보험 자격이력내역서(근로자용)
- 고용보험 일용근로내역서(근로자용)
- 고용보험 개별사업장 자격내역확인서(근로자용)
- 산재보험 자격이력내역서(근로자용)
- 산재보험 일용근로내역서(근로자용)
- 보험급여지급확인원(근로자용)
- 고용,산재보험가입증명원(법원/개인)
- 고용, 산재보험 신고여부 및 완납증명원(법원/개인)
- 산재요양승인반려여부확인서(법인/개인)
<여권>
- 여권발급기록증명서(국/영)
- 여권발급신청서류증명서
- 여권실효확인서(국/영)
- 여권정보증명서
해운대구 무인민원발급기 2021.01.26
  • 01.
구민을 위한 행정!
2021년 해운대구 예산현황
총 예산 6,390억

02.
2021 해운대구 예산현황
사회복지 4,154억(65.02%)
- 노인, 청소년 1,684억
- 기초생활보장 832억
- 취약계층지원 797억
- 보육가족 및 여성 776억
- 노동 41억

공공질서 및 안전 53억(0.83%)

03.
2021 해운대구 예산현황
보건 169억(2.65%)
- 보건의료 169억
- 식품의약안전 0.4억

일반공공행정 214억(3.35%)

교육 49억(0.78%)

04.
2021 해운대구 예산현황
교통 및 물류 123억(1.93%)
- 도로 114억
- 대중교통, 물류 등 기타 9억

문화 및 관광 85억(1.33%)
- 문화예술 61억
- 체육 20억
- 관광 3억
- 문화재 1억

05.
2021 해운대구 예산현황
농림해양수산 141억(2.21%)
- 해양수산, 어촌 76억
- 임업, 산촌 57억
- 농업, 농촌 8억

산업 중소기업 및 에너지 10억(0.15%)
- 산업, 중소기업일반 9억
- 에너지 및 자원개발 1억

06.
2021 해운대구 예산현황
환경 269억(4.21%)
- 폐기물 209억
- 해양 28억
- 상하수도수질 19억
- 대기, 자연 13억

국토 및 지역개발 138억(2.17%)

예비비 78억(1.23%)

기타 903억(14.13%) 2021년 해운대구 예산 2021.01.25
  • 01.
2020년 구민 공감
구정 10대 성과

02.
<일자리경제과>
1.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그린벨트 해제 확정
- 센텀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 대상지 내 개발제한구역 해제(반여, 반송동 일원 162만 1,000㎡)
  - 사업 전체 부지 192만 2,000㎡의 84.8%
  - 국토부 도시관리계획 변경 결정(개발제한구역 해제) 고시('20.12.15.)
<재무과>
2. 해운대구 신청사 건립 본격 추진
- 신청사 기본계획 수립 용역 완료('20.2-6월)
  - 현황분석, 사업비 분석, 사업추진, 재원조달계획 수립 등
- 신청사 건립 타당성 조사 추진('20.11월~'21.3월)
- 현청사 활용방안 용역 완료('20.5월)

03.
<도시재생과, 건설과>
3. 반여지구 풍수해 예방사업 및 도시재생뉴딜사업 500억원 공모 선정
- 행안부 주관, 훙수해 생활권 정비사업 공모 선정
  - 반여1지구(신선천-수영강 일원) 종합정보, 사업비 300억 확보
  - 배수펌프장 증설, 사방댐 및 재해예방경보시스템 설치 등
- 국토부 주관, 2020년 도시재생뉴딜사업 공모 선정
  - 반여2,3동 도시재생뉴딜(반여에 쉼표와 느낌표를 더하다)
  - 총 사업비 466.51억원(마중물 사업비 200억원 포함)
  - 정주공간 개선, 여가, 문화공간 조성, 골목상권 활력 등

04.
<기획조정실>
4. 해운대구 최초, 2020 대한민국 도시대상 수상
- 2020 대한민국 도시대상 수상
  - 국토교통부 주최, 종합부문 특별상 수상(전국 4위)
  - 생활여건 개선 및 도시경쟁력 향상 등 도시행정 전반 우수
<늘푸른과>
5. 옛 해운대역사 문화공원 조성 계획안 확정
- 해운대역의 역사성을 살리고, 지역 주민들이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조성
  - 도시관리계획(공원)결정: 광장 폐지 → 공원 신설
  - 옛 해운대역사 시민공원 조성 용역 완료
  - 공원조성계획안 부산시 조건부 의결 심의 통과('20.11월)

05.
<관광문화과, 건설과>
6. 수영강 및 해운대-송정 간 연안 관광활성화 사업 추진
- 수영강 야간경관 조성사업 1단계 완료 및 2단계 추진
  - 수영교 및 APEC나루공원 수변 일대 조성, LED 페스티벌 개최
- 해운대 리버크루즈 운항 개시('20.11월)
  - 유선장 및 매표사무소 조성 완료, 해양관광콘텐츠사업 추진
- 송정지구 연안정비(양빈)사업 추진(사업비 198억원)
  - 송정해수욕장 모래사장 복원 등
  - 돌제설치 L=100m, didqls V=300,000㎥
- 해운대-송정해수욕장 연안정비사업 착공(사업비 200억원)
  - 미표-청사포-구덕포 구간 연안유휴지 친수공간 조성
  - L=3.2km(조망시설 4개소, 연결산책로 3.2km)
- 구덕포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 정비사업 착공(80억원)
  - 구덕포항 일원 해일 방재시설(L=719m) 정비 등

06.
<도시재생과, 도시관리과>
7. 해운대온천길 어메니티 특화거리로 재탄생
- 해운대온천길 보행환경 개선(A=182,172㎡)
  - 중동 온천길 일원 보도확장, 보행편의시설 개선 등
- 해운대온천길 공중선 지중화(L=575m)
  - 개공배전선 및 전기통신선로 지중화로 도시미관 개선
- 해운대온천길 간판개선(간판 313개)
  - 건물 44개동 및 업소 163개 대상, 원도심 경관 개선

07.
<교통행정과, 건설과>
8. 사람중심의 미래지향적 교통인프라 확충
- 해운대터널 건설 추진(센텀2지구-운촌삼거리 간)
  - 국토부 제4차 대도시권 교통혼잡도로 계획 반영 신청
- 송정-대천램프 일원 교통혼잡구간 개선 용역 추진
- 광안대교 접속도로 연결 사업 추진
  - 벡스코 요금소-센텀시티 지하차도 진입 우회도로 건설
- 도시철도 2호선 오시리아 관광단지 연장 추진
  -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 계획 반영 요청
- EMU-260 준고속철도 해운대 정차 유치
  - 신해운대역, 벡스코역 등 관내 정차역 확대 협의
- 해운대-사상 간 지하고속도로 건설 추진(L=22.8km)
  - 정부의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20.10월)
- 센텀-만덕 간 대심도 건설 추진(L=9.62km)
  - '19.11월 공사 착공, '24.11월 준공 예정

08.
<기획조정실>
9. 해운대구 승격 40주년, 해운대 중장기 미래플랜 착수
- 해운대 2040 비전과 전략 수립 용역 착수
  - 구민과 함께 만드는 전문가, 의회, 행정의 협업형 계획
  - 미래 20년을 위한 종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계획 수립
- 신시가지 지속가능한 도시성장 구상 용역 착수
  - 준공 20년이 경과한 노후 신시가지의 재정비 모델 제시
  - 자족기능을 가진 미래지향적 도시관리방안 마련
<기획조정실>
10. 민선7기 공약이행평가, 전국 최고등급(SA) 달성
- 기초자치단체장 공약이행 및 정보공개평가 최고등급(SA) 달성
  - 7개 분야 78개 공약사업 추진
  - 37건 이행, 완료율 47.4% 구정 10대 성과 2021.01.23
  • 01.
앞서가는 해운대구!
2021년 정보화교육

02.
2021 정보화교육 실시
최신 IT 경향에 맞는 정보화 교육을 수립하여 우리 구민의 정보격차 해소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보화교육을 추진합니다.

03.
교육계획
- 기간: 2021.1월~11월
- 대상: 관내 주민(정보소외계층)
- 교육과정: 22과정 135회, 1,719명(컴퓨터기초, 스마트폰 활용, 사진편집 등 17개 과정)
- 장소: 좌1동 행정복지센터, 문화복합센터 정보화교육장

04.
교육 프로그램 안내 *일정과 장소 사전 확인 필수
난이도
컴퓨터기초→한글→블로그→파워포인트→엑셀→스마트폰 활용→사진편집→동영상만들기→나는야유튜버→ITQ자격증
* 교육일정안내: 해운대구 홈페이지 - 행정 - 교육 - 정보화교육

05.
교육프로그램 안내(특별과정)
여성정보화실무
- 교육대상: 만55세 이하 중년 여성
- 교육목표: 한글, 엑셀, 파워포인트 등 오피스 실무 활용
- 교육장소: 제1교육장(좌1동), 제3교육장(문화복합센터)
청소년 소프트웨어 교육
- 교육대상: 관내 거주 초등학생 4-6학년
- 교육내용: 스크래치를 활용한 코딩교육,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
- 교육장소: 제1교육장(좌1동), 제3교육장(문화복합센터)

06. 
접수방법
1. 접수기간: 교육시작일 전월 21일부터(주말, 공휴일 제외)
2. 접수제한: 1인 월 2강좌까지 접수
3. 선발기준: 정워너 내 선착순 선발
2021년 정보화교육 2021.01.23
  • 01.
더 쉽게, 더 빠르게!
여권 온라인 재발급 신청 서비스

02.
여권 재발급!
이제 온라인으로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여권발급 신청을 하고 여권을 수령할 때
한 번만 민원창구를 방문하는 서비스가 2020년 12월 18일부터 시행됩니다.
기존에 전자여권을 한 번이라도 발급받은 우리 국민이라면
여권 오나링ㄴ 재발급 신청 서비스를 통해
편리하고 신소하게 여권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여권은 온라인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 국나 여권사무대행기관 또는 재외공간 직접 방문을 통한 여권 발급 서비스도 기존대로 시행

03.
여권 온라인 재발급 신청 방법
국내거주자
- 신청대상: 기존에 전자여권을 하나 번이라도 발급받은 우리 국민
                *(비대상자)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 생애 최조 전자여권 신청자, 외교관, 관용, 긴급여권 신청자, 병역미필자 등
- 신청방법: 정보24 http://www.gov.kr *검색창에 '여권 재발급' 입력
- 발급안내: 휴대폰 문자 메시지
- 유의사항
  - 여권접수시
    - 본인공동인증서로 신청
    - 여권 수수료 외 온라인 결제에 따른 수수료 부과
    - 복수 여권만 발급 가능

해외거주자
- 신청대상: 기존에 전자여권을 하나 번이라도 발급받은 우리 국민
                *(비대상자) 만 18세 미만 미성년자, 생애 최조 전자여권 신청자, 외교관, 관용, 긴급여권 신청자, 병역미필자 등
- 신청방법: 영사민원24 http://consul.mofa.go.kr
- 발급안내: 이메일
- 유의사항
  - 여권수령시
    - 신청시 본인이 수령 희망한 기관 직접 방문
       국내: 여권사무대행기관/해외: 재외공관
        접수완료 후 수령기관 변경 불가
    - 기존 여권 지참(유효기간이 남아 있는 경우)
    - 해외에서 여권 수령시, 거주국 체류 자격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영주권, 비자 등) 지참

04.
여권 온라인 재발급 신청 흐름도
공동인증서 로그인
1. 정보 24(국내 거주자), 영사민원24(해외 거주자)
2. 신청정보 입력 및 사진 등록
3. 발급자격 요건 확인 및 사진 검증
4. 결제
5. 심사 및 교부
*여권 교부시 지문과 얼굴대조 시행(민원창구)

05.
여권용 사진 파일 안내(온라인용)
권장 사진규격: 크기 200kb 이하, 형식: jpg, 해상도: 300dpi

유의사항
- 6개월 이내 촬영된 사진
- 휴대폰 등 모바일 기기로 촬영한 사진, 지나치게 포토샵으로 보정한 사진 등은 여권 발급시 사진이 실물과 다르게 표현될 수 있으므로 권장하지 않음
- 여권 사진규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심사 과정에서 여권 접수가 반려될 수 있음

접수불가 사진
1. 배경이 흰색이 아닌경우
2. 테두리가 있는 경우
3. 화질이 선명하지 않은 경우
4. 얼굴 크기가 지나치게크거나 작은 경우
5. 여권용 사진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외교부 여권안내 홈페이지 www.passport.go.kr 참고)

여권 관련 문의처
- 여권안내 홈페이지: www.passport.go.kr
- 영사콜센터: 02-3210-0404 여권 온라인 재발급 신청 서비스 2021.01.22
  • 01.
쾌적한 해운대구, 만족하는 지구!
재활용품 배출방법

02.
2021년 7월 1일부터 
재활용품 요일별 분리배출 전면시행
시범운영: 2021년 4월1일~6월30일/ 시범운영 기간중에도 요일별 배출
운영대상: 단독, 다가구 주택 문전배출 가구/ 공동주택: 별도지정요일, 시간 지저된 장소 배출
배출방법: 재활용품 요일별(월,수)로 품목을 구분하여 배출

월요일(21시~24시)
고철, 캔, 플라스틱, 무색페트, 요구르트, 유리병, 소형가전
*지정요일별로 배출되지 않는 재활용품은 수거하지 않습니다
* 가정 내 재활용품을 요일별로 분류해 놓으면 배출하실 때 편리합니다.

03.
2021년 7월 1일부터 
재활용품 요일별 분리배출 전면시행
시범운영: 2021년 4월1일~6월30일/ 시범운영 기간중에도 요일별 배출
운영대상: 단독, 다가구 주택 문전배출 가구/ 공동주택: 별도지정요일, 시간 지저된 장소 배출
배출방법: 재활용품 요일별(월,수)로 품목을 구분하여 배출

수요일(21시~24시)
*지정요일별로 배출되지 않는 재활용품은 수거하지 않습니다
* 가정 내 재활용품을 요일별로 분류해 놓으면 배출하실 때 편리합니다.

04.
1. 생활쓰레기 배출요일(품목)
일: 일반쓰레기(가연성), 음식물쓰레기
월: 재활용품: 고철, 캔, 무색페트, 플라스틱(유색페트병 포함), 요구르트, 유리병, 소형폐가전, 일반쓰레기(불연성)
화: 일반쓰레기(가연성), 음식물쓰레기
수: 재활용품(종이류, 종이팩, 스티로폼, 비닐, 의류 등), 일반쓰레기(불연성)
목: 일반쓰레기(가연성), 음식물쓰레기
금: 배출불가
토: 배출불가

05.
1. 생활쓰레기 배출요일(품목)
시간: 21-24시
장소: 
 - 단독, 다가구주택: 자기집 대문 앞
 - 공동주택: 각 공동주택별 지정된 요일 및 시간에 지정된 장소 배출
방법
 - (가연성)일반쓰레기: 불에 타는 일반쓰레기는 종량제봉투에 담아 배출
 - (불연성)일반쓰레기: 종량제 베자루에 담아 배출
 - 음식물쓰레기: 물기 및 이물질 제거 후 전용 수거용기에 담아 납부필증 부착 후 배출
 -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 품목 확인 후 품목별로 분류하여 투명봉투에 담아 배출
    - 월: 고철, 캔, 무색페트, 플라스틱(유색페트병 포함), 요구르트, 유리병, 소형폐가전
    - 수: 종이류, 종이팩, 스티로폼, 비닐, 의류 등

* 미수거신고
- (주)청도: 우1,3동 일반주택, 우2동, 우1,3동(동원비스타, 두산위브더제니스, 아이파크, 경남마리나, 엑소디움), 반여2,3동, 재송1,2동 749-2720/팩스 744-1878
- (주)해동환경: 반여1,4동, 반송1,2동, 재송1동(더샾센텀스타, 센텀이편한세상, 센텀협성르네상스, 센텀피오레1차, 센텀계룡비슈빌) 702-1201/팩스 703-0444
- (주)신해환경: 좌1,2,3,4동, 1,3동 공동주택(동원비스타, 두산위브더제니스, 아이파크, 경남마리나, 엑소디움 제외) 743-0562/팩스 744-0561
- (주)희망환경: 중1,2,동, 송정동 722-0557/팩스 722-0556

06.
2. 소형폐가전(무상배출)
*수거불가: 크기무관 온도교환기기(냉매포함), 디스플레이기기(특수환경물질 포함)
- 통신, 사무기기: 레이저프린터, 비레이저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컴퓨터자판, 컴퓨터본체, 스캐너, 빔프로젝트, 유무선공유기
- 일반전기 전자제품: 포터블(휴대용오디오), 오디오본체, 오디오스피커, 오디오차량용, 전기오븐, 전자레인지, 음식물처리기, 식기건조대, 전기비데, 공기청정기, 전기히터, 전기밥솥, 가습기, 다리미, 선풍기, 믹서기, 청소기, 비디오, 토스트기, 전기주전자, 전기후라이팬, 헤어드라이어, 감시카메라, 식품건조기, 족욕기, 재봉틀, 영상게임기, 제빵기, 튀김기, 커피메이커, 약탕기, 탈수기, 노트북, 내비게이션 등

07.
3. 대형폐가전무상수거
 -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정수기, 러닝머신 등(소형폐까전 수량 5개 이상 동시배출시)
* 수거업체: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1599-0903, http://www.15990903.or.kr)
4. 대형폐기물
- 침대, 매트리스, 옥매트, 조명기기, 목재재질 가구 등
종량제봉투에 담아 버리기 힘든 제품류
배출신고(주민)→처리업체 접수→현장방문 후 품목확인→영수증 발급 및 수거
*처리업체: 센텀환경(702-0111)/ 민하산업(782-3511/529-3512)

혼합배출(일반쓰레기, 음식물, 재활용품) 또는 무단투기시: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재활용품 배출방법 2021.01.22
    • 첫 페이지이전 10개의 페이지11121314151617181920다음 10개의 페이지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