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현황 및 예방 수칙 안내
작성일 | 2024-03-25 17:11:01 | 조회수 | 624 | ||||||||
---|---|---|---|---|---|---|---|---|---|---|---|
작성자 | 감염병대응팀 | ||||||||||
최근 일본 연쇄상 구균 독성쇼크 증후군(stss)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발생 현황 및 예방수칙을 안내드리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발생현황 - '18년 684명 → '19년 894명 → '20년 718명 → '21년 622명 → '22년 732명 → '23년 941명 → '24년 9주 414명 (지속증가)
○발생개요 -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한 침습적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독성쇼크증후군, 전세계적으로 발생이 보고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드물게 발생
- 임상증상: 초기에 경미한 호흡기 증상, 침습적 감염이 진행되는 경우 고열, 발진, 류마티스열, 사구체 신염 등이 나타날 수 있음.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괴사성 근막염, 다발성 장기부전, 독성쇼크증후군(stss) 등으로 악화될 수 있음
- 감염경로: 주로 점막 또는 상처부위 등을 통하여 접촉전파, 비말전파
- 백신·치료: 현재까지 개발된 백신은 없고 조기진단을 통한 치료가 중요 - 고위험군: 65세 이상 고령층, 최근 수술받은 경우(상처가 있는 경우 등), 노출되는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수두 등), 알코올 의존증 및 당뇨병 환자 ○예방수칙
|
|||||||||||
첨부파일 |